홈
>
책과 생각
>
신간 제1장 공개
신간 제1장 공개
그림·책·그림책
책과 사람
서평
이 한 대목
영상 나비
영상 북리뷰
오늘의 공부
생각하는 사전
신간 제1장 공개
신간 도서의 본문의 제1장 또는 주목할만한 부분을 독자 여러분께 살짝 공개합니다.
어느날 미래가 도착했다
우숙영 지음
아버지의 시간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 김민욱 옮김 | 박한선 감수
목표는 천하무적
우치다 다쓰루 지음 | 박동섭 옮김
판타지는 어떻게 현 . . .
브라이언 애터버리 지음 | 신솔잎 옮김
세상에 왜 도서관이 . . .
양쑤추 지음 | 홍상훈 옮김
전체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어린이/청소년
기타
150
김지은 에세이
김지은, 『어린이는 멀리 간다』
할머니 집은 기차역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 있었다. 할머니는 나를 우리 강아지라고 불렀다. “우리 강아지, 오느라 얼마나 고단했냐.”라며 손을 잡고 꼭 안아 주던 할머니의 품에서 나는 부끄러워하며 슬그머니 어깨를 빼곤 했다. 지금이었다면 폭 안겼을 텐데, 할머니는 하늘나라로 떠나...
2025-05-21
149
이야기 창작의 과정
황선미, 『어린이와 더불어 사는 이야기집을 짓다』
인터뷰 때나 초대받은 자리에서 자주 듣는 질문들이 있다. 이미 어른인데 어떻게 아이들 심리를 실감 나게 묘사하는가, 혹시 작품을 위해 아이들을 관찰하거나 취재하는가, 어떻게 하면 관심을 끌 만한 동화를 쓸 수 있나 하는 것들이다. 초등학생의 질문은 꽤 직접적이다. “베스트셀러 ...
2025-04-28
148
마음과 생각을 함께 키우는 독서 수업
김소영, 『김소영의 초등 책 읽기 교실』
초등학교 3학년 서진이는 학교 가기를 좋아하고 친구들에게 인기가 많은 어린이입니다. ‘우리 반을 제일 재미있는 반으로 만들겠다’는 공약으로 많은 표를 얻어 학급회장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런 서진이의 골칫거리는 독서 기록장 채우기 숙제입니다.
2025-04-15
147
김소영 에세이
김소영, 『어떤 어른』
독서교실에서 나의 하루는 칠판에 날짜를 적는 것으로 시작한다. 혼자 일하다 보면 오늘이 며칠인지, 무슨 요일인지 감각이 둔해져서 날짜를 확인하려면 달력을 봐야 한다. 일정에 대한 감마저 떨어지는 것 같다. 어린이들도 무얼 쓰다가 “선생님, 오늘이 며칠이에요?” 하고 물어볼 때가 ...
2024-12-05
146
청소년을 위한 유쾌발랄 책 읽기 안내서
고정원, 『독서손절자, 레벨업합니다』
책을 읽어야 한다는 것은 알고 있는데 도저히 책을 읽을 용기가 나지 않는구나! 아직은 책 읽을 마음이 들지는 않은데도 불구하고 이 책장을 넘겨 준 건 고마워. 자! 그럼 너랑 비슷한, 어쩌면 너보다도 책을 안 읽고 못 읽었던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
2024-12-03
145
책의 미로에서 헤매는 어린이 청소년 친구들에게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서로이음 기획단, 『선생님, 무슨 책 읽어요?』
‘사과’라는 단어를 들으면 가장 먼저 무엇이 생각날까? 맛있는 꿀이 잔뜩 들어간 달콤하고 아삭아삭한 사과, 백설 공주에 등장하는 빨간 독사과, 아니면 초록 사과? 이처럼 사람에 따라 다양한 사과가 생각날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사과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
2024-11-25
144
우리는 어린이를 품고 산다
김지은 외, 『우리 모두는 어린이였다』
우리는 누구나 어린이를 상상할 수 있다고 믿는다. 한때는 어린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가 상상하지 않는 곳에 상상해 본 적 없는 방식으로 현실의 어린이가 있다. 사람들은 “이런 곳에도 어린이가 있었어?”라거나 “어린이가 어떻게 이렇게 있을 수가 있어?”라고 놀라며 묻는다. 잠...
2024-10-25
143
앨런 그라츠 어린이 문학
앨런 그라츠, 『위험한 도서관』
이 모든 일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책이 도서실에서 사라진 날에 시작됐다. 사라진 줄도 모르고 있었다. 아직은 몰랐던 거다. 내 머릿속에서 그 책은, 꼭 학교 식당에 앉아 하나밖에 없는 친구가 와서 자기를 찾아 주기를 기다리는 아이처럼, 항상 책장에 혼자 자리 잡고 있었다. ...
2024-09-13
142
자유롭고 아름다운 사람, 어린이는 용기 있고 유능하다
편해문, 『어린이가 어린이로』
어린이의 커다란 고통은 창조할 수 없음에서 오는 고통입니다. 표현할 수 없음에서 오는, 만들 수 없음에서 오는, 할 수 없음에서 오는 답답함입니다. 상상이 필요하지 않은 실내와 의자와 관리에 긴 시간 붙잡혀 바깥을 쳐다보는 지루함과 좌절에서 오는 고독과 슬픔입니다. 어린이의 ...
2024-08-30
141
어린이책을 읽으며 다정한 어른이 되는 법
김유진, 『구체적인 어린이』
어린이에게는 거주 장소를 선택할 권한이 없다. 종종 자기 의사와 상관없이 집 안에 발이 묶이기도 한다. 필리퍼 피어스의 『한밤중 톰의 정원에서』의 주인공 톰 역시 동생 피터가 홍역에 걸리자 갑자기 이모 집에서 지내게 된다. 톰은 여름 방학에 동생과 정원에 놀이집을 지을 계획이...
2024-05-3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