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책과 생각
>
신간 제1장 공개
신간 제1장 공개
그림·책·그림책
책과 사람
서평
이 한 대목
영상 나비
오늘의 공부
생각하는 사전
신간 제1장 공개
신간 도서의 본문의 제1장 또는 주목할만한 부분을 독자 여러분께 살짝 공개합니다.
두루미의 땅, DMZ를 걷다
박경만 지음
책 산책가
카르스텐 헨 지음 | 이나영 옮김
전사들의 노래
홍은전 지음 | 훗한나 그림 | 비마이너 기획
편지로 보는 은밀한 . . .
송영심 지음
형사 박미옥
박미옥 지음
전체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어린이/청소년
기타
565
흥미로운 역사가 담긴 16통의 가장 사적인 기록, 편지 ...
송영심, 『편지로 보는 은밀한 세계사』
지금으로부터 2,100여 년 전인 기원전 99년 중국 한나라 조정. 황제 앞에 한 신하가 엎드린 채 화가 머리끝까지 난 황제의 진노를 감당하고 있었습니다. 황제의 노여움이 너무 커서 엎드려 있는 신하를 옹호하다가는 함께 휘말릴 수 있기에 그 누구도 나서서 그 신하를 편들지 않았습니다.
2023-05-29
564
생각을 깨우는 서른 번의 건축 기행
유현준, 『유현준의 인문 건축 기행』
1931년은 산업혁명으로 인해 사람들의 삶이 바뀐 세상이었다. 일자리를 찾아 많은 사람이 시골을 떠나 도시로 모여들면서 어느 때보다 많은 건축물이 필요해졌다. 19세기부터는 전염병을 예방하는 백신 기술로 인구가 더 늘었다. 산업 혁명이 시작하면서 사람들은 증기 기관차를 이용해 ...
2023-05-27
563
Why Feminism is Good For Men
옌스 판트리흐트, 『남성 해방』
2017년, 네덜란드 여성은 굉장히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사건을 기념했다. 여성이 최초로 선거에 출마할 수 있게 된 지 100년이 흘렀고, 2019년은 여성이 선거권을 쟁취한 지 100주년이다. 흔히 그 시절 여성만이 더 많은 권리를 받았다고 여기지만, 사실 네덜란드 남성이 보통 선거권을 ...
2023-05-22
562
저항하고 꿈꾸고 연결하는 발명품, 책의 모험
이레네 바예호, 『갈대 속의 영원』
그리스 황금시대에는 몇 권의 책이 있었을까? 얼마나 많은 사람이 책을 읽을 수 있었을까? 이에 대한 자료는 없다. 허공에서 춤추는 몇 가닥 풀잎으로 광대한 초지를 가늠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더욱이 대부분의 자료가 아테네에 관한 것이고 그 외의 지역에 대한 자료가 없다면 더욱 그...
2023-04-30
561
중국인들의 한국전쟁
백지운, 『항미원조』
한국전쟁에서 중국의 존재는 기이할 정도로 지워져 있다. 운산전투에서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던 1950년 10월 25일부터 2년 9개월 동안, 한반도에 들어온 중국인민지원군의 수는 연인원 240만을 넘었고, 최대 규모가 주둔했던 1953년 5월경에는 135만에 달했다.
2023-04-26
560
삶, 사랑, 관계에 닿기 위한 자폐인 과학자의 인간 탐구기
카밀라 팡, 『자신의 존재에 대해 사과하지 말 것』
내가 한 명의 인간이며, 나 자신이 될 권리, 정확하게는 나 자신이 될 의무가 있다는 것을 나는 깨달았다. 모든 사람에게는 자신의 말을 진지하게 들어주고 받아들여 줄 인간관계를 이어갈 권리가 있다. 특히 선천적으로 혹은 본능적으로 타고나지 못해 인간관계를 유지하려 분투해야만 ...
2023-04-18
559
오카쿠라 덴신
금병동, 『일본인의 조선관』
“아시아는 하나”라는 덴신의 명문구는 유럽의 아시아 침략에 대해서, 아시아는 하나가 되어 대항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발표한 것이지만, 그 때에도 “조선은 일본의 영유 아래에 있어야 한다”는 논리적 모순을 눈치 채지 못했다.
2023-03-30
558
마약의 수도는 어떻게 전 세계 도시의 롤모델이 되었나?
박용남, 『기적의 도시 메데진』
한국인들에게 메데진 하면 떠오르는 인물을 물어보면 뭐라고 답할까? 아마도 마약왕 파블로 에스코바르를 꼽을 것이다.를 꼽을 것이다.
2023-03-23
557
조지 손더스의 쓰기를 위한 읽기 수업
조지 손더스, 『작가는 어떻게 읽는가』
1. 책장에서 눈을 들고 지금까지 알게 된 것을 요약하라. 한두 문장으로 해보라. 2. 무엇에 호기심을 느끼는가? 3. 이야기가 어디로 간다고 생각하는가?
2023-02-24
556
종이에서 스크린, 오디오까지 디지털 전환 시대의 새로...
나오미 배런,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우리는 다양한 것을 읽는다. 길을 가다 ‘멈춤’ 표지판을 읽을 수도 있고, 장폴 사르트르의 작품을 읽을 수도 있다. 도움을 구하는 광고나 하이쿠를 읽을 수도 있다. 위키피디아의 글을 읽을 수도, 〈월스트리트저널〉의 기사를 읽을 수도 있다. 이 모두가 읽기에 포함된다. 하지만 각각이...
2023-01-3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