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책과 생각
>
신간 제1장 공개
신간 제1장 공개
그림·책·그림책
책과 사람
서평
이 한 대목
영상 나비
오늘의 공부
생각하는 사전
신간 제1장 공개
신간 도서의 본문의 제1장 또는 주목할만한 부분을 독자 여러분께 살짝 공개합니다.
타인의 고통에 응답 . . .
김승섭 지음
나는 바다로 출근한다
김정하 지음
시간을 잃어버린 사람들
테레사 뷔커 지음 | 김현정 옮김
하얀 사슴 연못
황유원 지음
타국에서의 일 년
이창래 지음 | 강동혁 옮김
전체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어린이/청소년
기타
582
더 나은 공동체를 위한 질문
김승섭,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는 공부』
사회운동 단체의 일을 열심히 돕던 한 학부생이 내 연구실에서 석사과정 공부를 하고 싶다고 찾아온 적이 있다. 왜 공부를 하려 하는지 물었다. “세상을 더 평등한 곳으로 만들고 싶어서요.”
2023-11-30
581
인터뷰를 통해 만나는 해양 전문가들의 성공과 성취
김정하, 『나는 바다로 출근한다』
‘해양도시’ 부산에서 28년간 은혜롭게 살았다. 한국해양대에 근무하다 보니 직간접적으로 주워들은 해양 관련 지식 덕택에 바다를 조금은 알게 됐다.
2023-11-30
580
교토 여행의 든든한 길잡이
유홍준, 『여행자를 위한 교토 답사기』
아스카와 나라는 일본 속의 한국문화를 찾아가는 답사의 핵심이며, 일본 고대문화의 하이라이트이다. 일본이 고대국가로 발전하는 전 과정이 아스카에 남아 있고, 마침내 그네들이 그토록 원하던 고대국가를 탄생시킨 곳이 나라이다.
2023-11-26
579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만든 서사들
실라 미요시 야거, 『애국의 계보학』
이 책은 한국의 역사, 젠더, 민족주의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대 자본주의 세계체제가 부상하고 그와 연동하여 국가가 등장하면서, 한국인이 자신을 젠더적 존재로 인식하는 방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조명한다. 19세기 말에 이르러 국가라는 개념이 등장하...
2023-11-17
578
나도 모르는 ‘나’를 깊이 비추는 그림책이라는 거울을 ...
김수영, 『나를 알고 싶어서 그림책을 펼쳤습니다』
우리는 시시때때로 거울을 본다. 자고 일어나서 보고, 세수하고 나서 보고, 옷을 입으면서도, 밥을 먹고 나서도 본다. 왜 그렇게 자주 거울을 들여다볼까? 거울에 비친 내가 너무 예뻐서? 고개를 끄덕일 사람도, 그게 무슨 소리냐고 당장에 반발할 사람도 있을 것이다.
2023-11-01
577
인류 절반의 영적 수도, 예루살렘을 거쳐 간 4000년 세계사
뱅상 르미르, 『예루살렘의 역사』
고도 800미터인 이 능선은 땅과 하늘, 인간과 신, 산 자의 세계와 죽은 자의 세계 사이에 있소. 예루살렘은 이 모든 것들이 만나는 지점이라오.
2023-10-31
576
어디에도 없는 고고학 이야기
강인욱, 『세상 모든 것의 기원』
2019년 유학 시절부터 알고 지내던 러시아 동료 고고학자가 한국에 온 적이 있다. 한국에 올 때마다 삼겹살에 소주를 즐기는 친구였기에 저녁 식사 장소는 이미 마음속으로 정해둔 터였다. 식사를 하러 자리를 뜨려던 찰나, 러시아 친구가 이렇게 물었다.
2023-10-25
575
1923년 9월 간토 조선인 학살 100주기, 우리가 마주해야...
민병래, 『1923 간토대학살, 침묵을 깨라』
간토 조선인 대학살은 결코 흥분한 자경단이 벌인 예상치 못한 범죄가 아니라는 것. 수백만의 이재민이 반정부투쟁에 나설까 두려워 야마모토 곤베에 내각이 직접 ‘조선인 습격설’을 퍼트리고 조선인을 희생양으로 삼아 위기에서 벗어나려 했다는 것.
2023-09-30
574
스토리 중독 사회는 어떻게 도래했는가?
한병철, 『서사의 위기』
정보는 새로운 것을 찾아 세상을 샅샅이 뒤지는 리포터의 매체다. 이야기하는 사람은 그 반대의 일을 한다. 이야기하는 사람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이야기하기의 예술은 정보를 내주지 않는 것이다. “이야기를 그대로 재현함으로써 설명으로부터 자유롭게 만드는 것이 이...
2023-09-22
573
빨리감기의 시대, 말과 글을 만지고 사유하는 법
김경집, 『어른의 말글 감각』
현대는 정보의 시대다. 단순한 ‘정보의 시대’가 아니라 ‘정보 과잉의 시대’이다. 현대인은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그러니 정보가 없어 대응하지 못한다는 말은 통하지 않는다. 넘치는 정보 가운데 정확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골라내 쓸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가 문제...
2023-09-1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