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책과 생각
>
신간 제1장 공개
신간 제1장 공개
그림·책·그림책
책과 사람
서평
이 한 대목
영상 나비
영상 북리뷰
오늘의 공부
생각하는 사전
신간 제1장 공개
신간 도서의 본문의 제1장 또는 주목할만한 부분을 독자 여러분께 살짝 공개합니다.
어느날 미래가 도착했다
우숙영 지음
아버지의 시간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 김민욱 옮김 | 박한선 감수
목표는 천하무적
우치다 다쓰루 지음 | 박동섭 옮김
판타지는 어떻게 현 . . .
브라이언 애터버리 지음 | 신솔잎 옮김
세상에 왜 도서관이 . . .
양쑤추 지음 | 홍상훈 옮김
전체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어린이/청소년
기타
198
AI시대 인간의 조건
우숙영, 『어느날 미래가 도착했다』
남편이 죽었다. 여느 때와 다름없는 평범한 날이었다. 그날 아침 아내에겐 당일까지 마감해야 하는 일이 갑자기 들어왔다. 남편과 함께하기로 한 약속이 있었지만 어쩔 수 없었다. 프리랜스로 일하는 그녀에겐 흔한 일이었다. 혼자 가게 된 남편은 조금 툴툴거렸지만 이내 키스를 건네고...
2025-07-05
197
우리에게는 왜 야생이 필요한가
엔리크 살라, 『자연 그대로의 자연』
1991년 9월 26일, 애리조나주 오러클에 있는 축구장 2개 크기의 밀폐된 시설에 8명의 사람들이 격리 수용되었다. 그 프로젝트는 바이오스피어 2라고 불렸는데, 실행 가능한 자급자족적 인간 식민지를 건설할 수 있는지 테스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는 것이 목표였다. 바이오스피어는 생...
2025-06-24
196
죽음이 생명에 새겨 놓은 것들
리처드 도킨스, 『불멸의 유전자』
당신은 하나의 책, 미완성 문학 작품, 기술적 역사의 보관소다. 당신의 몸과 유전체는 오래전에 사라진 연속된 다채로운 세계들, 오래전 살았던 조상들을 에워싸고 있던 세계들에 관한 종합 기록물로서 읽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일종의 ‘사자의 유전서’다. 이 진리는 모든 동물, 식물, 균...
2025-06-17
195
바츨라프 스밀의 세계를 먹여 살리는 법
바츨라프 스밀, 『음식은 넘쳐나고, 인간은 배고프다』
우리는 왜 농업이 필요할까? 우리는 일년생과 다년생 작물을 왜 재배해야 할까? 경작지는 왜 얼음으로 뒤덮이지 않은 육지 면적의 약 40%를 차지할까? 우리는 왜 수십억 마리의 가축을 기를까? 이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은 이렇다. 우리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양이 증가할 때 종종 ...
2025-05-31
194
물리학으로 나, 우리, 세상을 이해하는 법
김범준, 『내가 누구인지 뉴턴에게 물었다』
달도 보이지 않는 칠흑 같은 여름밤, 함께 놀러 간 친구들과 수박 서리를 하러 나갔던 추억이 있다. 그때 캄캄한 어둠에 적응한 눈으로 올려다본 밤하늘을 잊지 못한다. 사람이 만들어낸 도시의 인공 빛이 없는 세상의 풍경은 무척이나 낯선 모습이었다. 달이 뜨지 않을 때의 칠흑같은 밤...
2025-05-01
193
계의 눈으로 펼쳐 보는 새로운 기후운동의 전략
매슈 T. 휴버, 『기후위기 계급전쟁』
대체로 이런 부류의 책들 대부분이 기온 상승, 녹아내리는 북극 빙하, 극심한 가뭄 등 기후변화의 끔찍한 과학적 사실을 늘어놓으며 시작한다. 그렇지만 이 책에서는 그러지 않을 생각이다. 독자 여러분은 이미 상황이 절박하다고 생각했기에 이 책을 펼쳤을 것이다. 우리에게 남은 시간...
2025-04-25
192
17인의 농민이 말하는 기후 위기 시대의 농사
녹색연합,금창영,이다예,이아롬,황인철, 『모두를 살리는 농사를 생각한다』
한편 이른바 ‘탄소 중립’ 시대를 맞아 농업도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주범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탄소 중립이란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해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0년,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고 선언했...
2025-04-23
191
자본으로부터 과학 되찾기
박재용, 『노동자가 만난 과학』
인간이 처음 몸에 걸친 옷은 아마 사냥한 동물의 가죽이었을 것이다. 그 뒤 다양한 섬유들이 나왔지만, 모피는 꾸준히 인간의 사랑을 받았다. 그러나 20세기 들어 모피 사용을 문제라고 느낀 이들이 늘어났고, 21세기 들어 모피를 사용하지 말자는 여론이 높아졌다. 모피 생산을 목적으로...
2025-04-16
190
더 아름다운 삶을 위한 예술의 뇌과학
수전 매그새먼·아이비 로스, 『뇌가 힘들 땐 미술관에 가는 게 좋다』
우리는 예술이 지닌 변화의 힘을 알고 있다. 누구나 음악이나 그림, 영화, 연극에 푹 빠져본 적, 내면의 무언가가 꿈틀거리며 변해가는 걸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어떤 책이 너무 재밌어서 꼭 읽어보라며 친구 손에 쥐여준다거나, 어떤 노래가 정말 좋아서 그 곡을 듣고 또 들으며 가...
2025-04-10
189
기술에 휩쓸린 시대를 살아가는 마음들
조경숙·한지윤, 『AI블루』
“그래서 우리는 어떤 직업을 가져야 되는 거예요?” 한 고등학교에 강연을 갔을 때 받은 질문이다. 종종 학교나 공공기관 등에서 AI를 비롯한 테크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개괄적으로 발표하곤 하는데, 이날도 같은 주제로 이야기를 마친 참이었다. 궁금한 점이 있는지 묻자마...
2025-03-28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