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책과 생각
>
이 한 대목
신간 제1장 공개
그림·책·그림책
책과 사람
서평
이 한 대목
영상 나비
오늘의 공부
생각하는 사전
이 한 대목
전체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어린이/청소년
기타
431
식사 방식으로 본 한국 음식문화사
주영하,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오늘날 한국 사회는 여전히 상차림 방식에 대해 좀 더 종합적인 문제 제기 없이 한식음식점의 ‘경제성’ 혹은 한식의 ‘서양화’를 내세우며 이런저런 상차림 방...
주영하
2023-11-24
430
생존자
김초롱, 《제가 참사 생존자인가요》
놀다가 참사를 당한 게 아니라 일상을 살다가 참사를 당한 겁니다.
김초롱
2023-11-07
429
〈무한도전〉의 장례식
복길, 《아무튼, 예능》
정치적 다양성에 대한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묵살하고 출연자의 예능 감각과 재미만을 기준으로 삼아 달라는 태도로 일관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복길
2023-11-03
428
허영
기 드 모파상, 〈목걸이〉
그녀는 자신이 이 세상의 온갖 세련됨과 화려함을 누리기 위해 태어났다고 믿었기에 왜 요 모양 요 꼴로 사나 싶어 늘 괴로웠다
기 드 모파상
2023-10-26
427
책 읽기를 좋아하고 싶다면
앨리 모건, 《사서 일기》
‘읽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책이 아니라, 일단 좋아하는 책을 읽을 것.
앨리 모건
2023-10-18
426
비윤리적이고 불결한 노동은 누구에게 어떻게 전가되는가
이얼 프레스, 《더티 워크》
노동이 구획화되고 파편화되어 있다는 점이 문제를 가중한다.
오윤성
2023-09-25
425
가족이라는 각본
김지혜, 《가족각본》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에서 제일 유명한 이름은 결혼 밖에서 태어난 사람, 소위 ‘혼외출생자’의 것이다.
김지혜
2023-09-21
424
어린이의 집중력
요한 하리, 《도둑맞은 집중력》
어린이에게는 욕구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어른인 우리의 일이다.
요한 하리
2023-09-13
423
책을 태우는 일
수전 올리언, 《도서관의 삶, 책들의 운명》
책을 파괴하는 것은 죽음보다 더 나쁜 무언가를 선고하는 행위다.
수전 올리언
2023-08-31
422
출퇴근과 책읽기
이언 게이틀리, 《출퇴근의 역사》
원치 않는 대화를 피하는 최고의 방어 수단은 책이나 신문이었다.
이언 게이틀리
2023-08-3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