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책과 생각
>
이 한 대목
신간 제1장 공개
그림·책·그림책
책과 사람
서평
이 한 대목
영상 나비
오늘의 공부
생각하는 사전
이 한 대목
전체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어린이/청소년
기타
147
식사 방식으로 본 한국 음식문화사
주영하,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오늘날 한국 사회는 여전히 상차림 방식에 대해 좀 더 종합적인 문제 제기 없이 한식음식점의 ‘경제성’ 혹은 한식의 ‘서양화’를 내세우며 이런저런 상차림 방...
주영하
2023-11-24
146
책을 태우는 일
수전 올리언, 《도서관의 삶, 책들의 운명》
책을 파괴하는 것은 죽음보다 더 나쁜 무언가를 선고하는 행위다.
수전 올리언
2023-08-31
145
출퇴근과 책읽기
이언 게이틀리, 《출퇴근의 역사》
원치 않는 대화를 피하는 최고의 방어 수단은 책이나 신문이었다.
이언 게이틀리
2023-08-30
144
불필요한 잔인함
마이클 슈어, 《더 좋은 삶을 위한 철학》
무지가 사람을 비정하게 만들 듯 ‘지식은 사람을 온순하게 만든다.’
마이클 슈어
2023-07-10
143
운명을 읽다
강헌, 《명리 : 운명을 읽다》
운명, 즉 “명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학문이 바로 명리학이다.
강헌
2023-06-03
142
올바른 목적에 이르는 길
KBS 다큐 인사이트, 〈인생 정원: 일흔둘, 여백의 뜰〉
올바른 목적에 이르는 길은 그 어느 구간에서든 바르다.
KBS 다큐 인사이트
2023-05-10
141
자기기만
샹커 베단텀·빌 메슬러, 《착각의 쓸모》
오히려 ‘건강한’ 집단은 ‘통제력에 대한 착각’을 지니고, 반대로 ‘건강하지 않은’ 대조군은 ‘현실을 명징하게 바라보았다.’
샹커 베단텀·빌 메슬러
2023-02-22
140
어디서 살 것인가
유현준, 《어디서 살 것인가》
건축은 인간의 본질을 반영하는 행위이자 결과물이다. 건축은 우리와 연결되어 있고 우리의 모습을 비춘다.
유현준
2023-02-20
139
협
천정환, 《대한민국 독서사》
‘협’의 정신은 독재정부 타도와 혁명을 꿈꾸었던 1980년대 운동 세대들의 정신구조와도 닮아 있다.
천정환
2022-11-16
138
진화하는 장애, 익숙해지지 않는 통증
장애여성공감, 《어쩌면 이상한 몸》
장애가 있든 없든, 아픈 몸이든 아프지 않은 몸이든, 중요한 것은 있는 그대로의 몸이 인정되고 각자가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는 조건들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
장애여성공감
2022-09-08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