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책과 생각
>
이 한 대목
신간 제1장 공개
그림·책·그림책
책과 사람
서평
이 한 대목
영상 나비
오늘의 공부
생각하는 사전
이 한 대목
전체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어린이/청소년
기타
142
올바른 목적에 이르는 길
KBS 다큐 인사이트, 〈인생 정원: 일흔둘, 여백의 뜰〉
올바른 목적에 이르는 길은 그 어느 구간에서든 바르다.
KBS 다큐 인사이트
2023-05-10
141
자기기만
샹커 베단텀·빌 메슬러, 《착각의 쓸모》
오히려 ‘건강한’ 집단은 ‘통제력에 대한 착각’을 지니고, 반대로 ‘건강하지 않은’ 대조군은 ‘현실을 명징하게 바라보았다.’
샹커 베단텀·빌 메슬러
2023-02-22
140
어디서 살 것인가
유현준, 《어디서 살 것인가》
건축은 인간의 본질을 반영하는 행위이자 결과물이다. 건축은 우리와 연결되어 있고 우리의 모습을 비춘다.
유현준
2023-02-20
139
협
천정환, 《대한민국 독서사》
‘협’의 정신은 독재정부 타도와 혁명을 꿈꾸었던 1980년대 운동 세대들의 정신구조와도 닮아 있다.
천정환
2022-11-16
138
진화하는 장애, 익숙해지지 않는 통증
장애여성공감, 《어쩌면 이상한 몸》
장애가 있든 없든, 아픈 몸이든 아프지 않은 몸이든, 중요한 것은 있는 그대로의 몸이 인정되고 각자가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는 조건들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
장애여성공감
2022-09-08
137
생명권력
김도현, 《장애학의 도전》
각종 유전병을 비롯한 질병이나 정신·정서·신체상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살 가치가 없는 생명’의 일차적 대상이 된다.
김도현
2022-09-07
136
만장일치
박주영, 《법정의 얼굴들》
재판의 목표는 진실 추구다.
박주영
2022-08-03
135
소비자의 사회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진정한 소비자의 사회라는 근대사회의 이 이상은 꿈으로 남는 한 매력적이겠지만, 실현되었을 때에는 곧 바보들의 천국이 되어버릴 것이다.
한나 아렌트
2022-06-21
134
게으름에 대한 찬양
버트런드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다만 우매한 금욕주의가 우리로 하여금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과도한 노동을 주장케 할 뿐이다.
버트런드 러셀
2022-05-09
133
두 계급
디디에 에리봉, 《랭스로 되돌아가다》
얼마나 친밀하든 간에, 관계가 진행되는 동안 하비투스의 관성 효과에 의해 두 계급이 맞부딪힌다.
디디에 에리봉
2022-03-24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