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책과 생각
>
책과 사람
신간 제1장 공개
그림·책·그림책
책과 사람
서평
이 한 대목
영상 나비
영상 북리뷰
오늘의 공부
생각하는 사전
책과 사람
책으로 만난 사람, 사람으로 만난 책.
전체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어린이/청소년
기타
32
어린이를 위한 독서환경, 이대로 좋은가?
2024 어린이 책의 해 콘퍼런스
주최 측에서 저에게 부탁하신 오늘 주제는 ‘어린이를 위한 독서환경, 이대로 좋은가?’입니다. 현 상황이 좋다면 이런 주제를 부탁하셨겠습니까? 이 귀한 자리...
이주영
2024-10-31
31
학교도서관 전문 인력의 중요성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사서의 위상정립〉 토론문
학교도서관은 가르침과 배움의 중심입니다.
안찬수
2017-10-12
30
수천 년을 관통하는 불멸의 지혜 - 동양 철학 고전 다섯 종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였던 정이는 “『논어』를 읽고 난 뒤 조금도 변하지 않는 사람이 있고, 한 두 구절 얻어 기뻐하는 사람이 있고, 읽은 뒤 좋아할 줄 아는...
전호근
2016-01-30
29
인문학은 사람이다!
뛰어난 씨름인에게 기술을 배운 건 박진감과 긴장감을 최고로 고취시켜 싱거운 승리가 아닌 간발의 승리로 상대가 더 짜릿한 기쁨을 얻게 하기 위함이다. 사...
김경집
2016-01-30
28
제퍼슨, 모릴, 귀족 (下)
실험 지식은 적어도 잠재적으로 전체주의적이다. 문화적 가치와 그 가치에 함축되어 있는 절제에 대한 고려 없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은 그냥 힘을 섬기는 ...
웬델 베리
2015-11-06
27
'틀, 그 한계를 허물다'
2014 강원 고교생 인문학 독서토론 캠프 - '저자와의 북 토크' 정리
강원도교육청이 주최하고 책읽는사회문화재단이 후원하는 '2014 강원 고교생 인문학 독서토론 캠프'가 2014년 9월 19~20일, 강원도 평창에서 열렸습니다. 이...
2014-09-30
26
우리는 왜 역사를 말하는가?
교양이라고 하는 건 어떤 목적을 갖고 무엇이 되어야 하는 그런 것이 아니라, ‘나와 타자가 소외되지 않고 같이 잘 살아나갈 수 있는가?’ 하는 그런 의문을 ...
2014-08-14
25
‘인문 복지’를 넘어 ‘인문 주체’ 되기
인문정신문화 정책의 평가와 대안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인문정신문화 정책은 1) 인문학이 복지의 수단화되고 있으며, 2) 인문학 대중화 사업에 과도하게 치우쳐져 있고, 3) 인문학 근본 토대 형...
오창은
2014-04-03
24
‘좋은 삶’의 개념을 찾아서: 순진하지만 담대한 제안들 4
저자가 지적하듯, 오늘날 우리 사회의 모순 가운데 하나는 정규직은 너무 바빠서 여가가 없고, 비정규직은 일자리가 없어서 여가를 즐기지 못한다는 것이다.
송승철
2013-10-16
23
‘좋은 삶’의 개념을 찾아서: 순진하지만 담대한 제안들 3
저자들 역시 신자유주의 대두를 설명하면서 ‘석유위기’를 주요한 원인으로 들고 있다. 이는 1950, 60년대 유럽에서 복지국가가 가능했던 주요한 이유 가운데 ...
송승철
2013-10-16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