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연재
>
기후 @나비
월요일 독서 클럽
미술 초보의 미술 수다
유토피아/디스토피아 문학 이야기
이명호의 '감정의 산책자'
정윤수의 ‘서문이라도 읽자’
황주리의 그림소설 ‘네버랜드 다이어리'
정여울의 ‘고전 캐릭터 열전’
이삼출의 '영시로 읽는 사람 이야기'
성우제의 ‘문화비평’
서현수의 ‘북유럽 정치학’
기후 @나비
인디고잉의 '청소년 칼럼'
송필경의 ‘왜 전태일인가?’
김응교의 '작가의 탄생'
기적을 만드는 사람들
책, 공동체를 꿈꾸다
독서동아리를 말하다
함께 읽는 사람들
세계는 읽는다
이용훈의 도서관통신
나비가 나비에게
청년 시평
인터뷰 서평
Korean Literature Now
기후 @나비
37
‘AI 오펜하이머들’의 갈림길
기후 지옥보다 먼저 도착한 AI 지옥(?!). 하나
오픈 AI 하면 잘 모르시는 분이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챗GPT라는 인공지능을 사용해보거나 들어보신 분은 많을 것입니다. 챗GPT를 만든 회사가 바로 오픈 AI...
박승옥
2023-12-01
36
태양광 전면 중단 사태의 돌파구는?
소형 영농형 햇빛발전이 일으키는 나비효과 ③
2023년 7월 3일, 윤석열정부 국무조정실은 전력산업기반기금사업 2차 점검 결과 총 5,359건, 5,824억 원 규모의 위법·부적정 집행 사례를 확인했다고 발표했...
박승옥
2023-09-08
35
소농도 살고 농지도 보전하고 소멸위기 농촌도 살리고, ...
소형 영농형 햇빛발전이 일으키는 나비효과 ②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이 3.8선을 돌파해 전면 남침한 그날 아침, 이승만 대통령은 경회루에서 낚시를 하고 있었습니다. 한 달 보름 전인 5월 10일 ...
박승옥
2023-09-07
34
기후재난, ‘우리 모두 피해자이자 가해자’라는 집단착각
소형 영농형 햇빛발전 나비효과 ①
집단착각 전략을 만든 기후위기의 주범은 따로 있습니다. 다름 아닌 자본주의 거대기업들입니다.
박승옥
2023-08-24
33
기후 행동은 새로운 세상 만들기입니다
60+기후행동창립1주년기념사
일 년 전 오늘, 우리는 서울 탑골공원에서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1월 19일, 즉 119. 화재 현장으로 긴급 출동하는 소방대원이 되고자 했습니다. 지구가 불...
60+기후행동
2023-02-02
32
마곡사 가는 포장도로를 ‘전두환 도로’라고 하는 까닭
권력의 진정한 힘은 ‘멈춤’에서 나옵니다
충남 공주의 마곡사에는 ‘군왕대’라는 작은 봉우리가 하나 있습니다. 임금이 나올만한 명당이라고 하여 ‘임금의 터’라는 뜻으로 ‘군왕대’라고 이름 지었다 합...
박승옥
2023-01-18
31
구상나무는 아직 살아 있다
기후위기와 산악열차 ②
이 땅에 사는 침엽수 중에서 유일한 특산종인 구상나무는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처럼 남부 산악지대에만 자생하고 있으며, 세계자연보전연맹에서 지정한 멸...
이창수
2023-01-04
30
기후체제로의 전환은 어떻게 가능할까 ②
벤저민 카터 헷의 『히틀러를 선택한 나라』
서구에서 귀족들이 절대왕정을 무너뜨리고 근대 국민국가를 만들면서 엘리트 의회통치 체제를 도입하고자 했을 때 이들에게는 돈과 쪽수의 힘이 필요했습니다...
박승옥
2022-12-28
29
기후체제로의 전환은 어떻게 가능할까 ①
벤저민 카터 헷의 『히틀러를 선택한 나라』
대한민국 헌법은 명확히 선거로 뽑힌 대통령의 5년 임기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윤석열 대통령 퇴진 구호가 벌써부터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대통령 ...
박승옥
2022-12-26
28
인디언 원주민에게서 배우는 기후농업
기후변화와 미국 소농 ②
아이러니하게도 미국 농업은 기후변화 대응의 지혜를 원주민들에게서 구해야 할 것 같다. 애초에 개척자들에게 농사를 가르쳐 준 이들이 바로 원주민들이다. ...
안정현
2022-12-07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