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연재
>
기후 @나비
월요일 독서 클럽
유토피아/디스토피아 문학 이야기
이명호의 '감정의 산책자'
정윤수의 ‘서문이라도 읽자’
황주리의 그림소설 ‘네버랜드 다이어리'
정여울의 ‘고전 캐릭터 열전’
이삼출의 '영시로 읽는 사람 이야기'
성우제의 ‘문화비평’
서현수의 ‘북유럽 정치학’
기후 @나비
인디고잉의 '청소년 칼럼'
송필경의 ‘왜 전태일인가?’
김응교의 '작가의 탄생'
책, 공동체를 꿈꾸다
독서동아리를 말하다
함께 읽는 사람들
나비가 나비에게
청년 시평
인터뷰 서평
Korean Literature Now
기후 @나비
8
기후위기 시대, 백낙청을 다시 읽다 3
기후위기 시대, 개벽세상으로의 체제 전환은 누가 이룰 것인가 ②
「촛불혁명과 개벽세상의 주인노릇을 위해」. 백낙청 책의 서문 제목이다. 매우 의미심장한 말이다. 서문의 내용은 그가 지금까지 논의해온 거의 모든 현실의...
박승옥
2022-06-17
7
기후위기 시대, 백낙청을 다시 읽다 3
기후위기 시대, 개벽세상으로의 체제 전환은 누가 이룰 것인가 ①
백낙청의 일관된 눈높이는 국가에 맞춰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인민의 삶을 말할 때조차 백낙청의 눈은 국가를 우선해서 먼저 보고 있다. 물론 그가 우선해서...
박승옥
2022-06-17
6
기후위기 시대, 백낙청을 다시 읽다 2
진보는 없다 ②
백낙청의 이름짓기를 관통하는 세계 인식의 주춧돌은 진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근대 적응과 극복의 이중과제론도 적당한 성장론도 진보주의자 백낙청의 세계...
박승옥
2022-06-17
5
기후위기 시대, 백낙청을 다시 읽다 2
진보는 없다 ①
1991년 11월 김종철이 『녹색평론』을 창간함으로써 한국에서 본격화된 생태주의는 기존의 사회와 국가에 대한 인식과 믿음을 뿌리에서부터 뒤집어엎는 일종...
박승옥
2022-06-17
4
기후위기 시대, 백낙청을 다시 읽다 1
인민인가, 국가인가? ②
모든 사회혁명은 문화운동으로 시작한다. 사회를 변화시키는 첫 번째 시도는 언어창조의 문화운동이다.
박승옥
2022-06-17
3
기후위기 시대, 백낙청을 다시 읽다 1
인민인가, 국가인가? ①
사람은 언어로 생각하고 언어로 소통하는 사회성 동물이다. 갓 태어난 아기는 어머니 젖을 먹고 성장하면서 눈, 귀, 코, 입, 살갗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 세상...
박승옥
2022-06-17
2
기로에 선 새마을운동 ②
관변단체인가 자립자치 국민운동인가… 새마을회는 변할 수 있을까
문재인 정부의 역점 사업 가운데 하나가 민주주의의 기반 확대, 자치분권과 주민자치의 확대다. 앞으로 읍면동장까지 주권자인 주민의 선거로 선출하는 방향...
박승옥
2021-03-01
1
기로에 선 새마을운동 ①
새마을운동중앙회장 낙하산, 촛불 정신에 맞는 것인가?
새마을운동을 모르는 국민들은 아마 거의 없을 것이다. 관공서건 마을회관이건 대한민국 방방골골 어디에나 걸려 있는 녹색의 새마을 깃발, 이른바 관변단체...
박승옥
2021-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