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1-15

정약용의 실학사상

저자소개

전호근
대학과 대학원에서 공맹 유학과 조선 성리학을 전공했고, 16세기 조선 성리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은사이신 안병주 선생과 함께 『역주 장자』를 펴냈다. 아내와 더불어 『공자 지하철을 타다』를 쓰고, 아이들을 위해 『열네 살에 읽는 사기열전』을 썼다. 또 『한국철학사』, 『대학 강의』, 『장자 강의』, 『맹수레 맹자』, 『번역된 철학, 착종된 근대』(공저), 『강좌한국철학』(공저),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공저), 『동양철학산책』(공저), 『동서양고전의 이해』(공저), 『유학, 시대와 통하다』(공저), 『철학자가 사랑한 그림』(공저) 등을 펴냈다. 주로 동아시아의 고전을 해설하는 것을 업으로 삼는 만큼 동아시아의 지적 전통을 복원하는 일에 관심이 많다. 읽을 책의 글자 수를 세는 버릇도 그래서 생긴 벽(癖). 불멸의 고전인 유가의 십삼경을 모두 해설하는 것은 아직 이루지 못한 꿈으로 남아 있고, 문자의 기원을 찾는 일은 덤으로 즐기는 여유다. 미래를 기약하면서 과거를 이야기하는 사마천과 정약용의 수법을 좋아한다.

2016년 3월 28일, 책읽는사회문화재단의 2016년 시민인문강좌가 전호근의 〈한국철학, 1300년을 관통하는 사유의 거장들〉로 문을 열었습니다. 전호근 교수의 〈한국철학사〉 강의는 삼국시대 원효에서 현대의 장일순까지, 한국철학 1300년을 관통하는 사유의 거장들을 만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강좌는 총 8강으로 구성되어 3월부터 11월까지 매달 한 회씩 진행될 예정이며 웹진 〈나비〉 '오늘의 공부'에 강의의 한 대목과 함께 영상파일과 음성파일이 게재될 것입니다. (편집자 주)  



한국철학, 1300년을 관통하는 사유의 거장들


6강: 정약용의 실학사상


세상의 모든 지식을 담다, 정약용


학문의 바다를 만나다
이번 시간에는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삶과 사상을 살펴보겠습니다. 제가 앞서 남명 조식의 글을 읽고 있으면 마치 천 길의 벼랑이 앞에 서 있는 것[壁立千仞] 같은 기상을 느낀다고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다산 정약용의 글을 읽고 있으면 마치 망망대해茫茫大海 앞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그만큼 정약용의 학문은 깊이와 너비에서 다른 학자들을 압도합니다.

정약용은 75세를 살았지만 그중에서 18년을 유배지에서 보냈습니다. 18년간 유배생활을 하면서 방대한 양의 저술을 남겼는데,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많은 저술을 남긴 학자로 꼽힙니다. 저술량이 무려 500만자에 이릅니다. 500만자, 어느 정도 일까요? 한문으로 쓴 책 한권이 만자정도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 요즘 식으로 하면 500권의 저술을 남긴 셈이고 저술의 내용 또한 세상의 모든 지식을 담았다고 할 정도로 인문, 사회, 정치, 경영, 의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방면에 걸쳐있습니다. 그래서 다산은 백과전서식 지식을 추구한 학자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지적 호기심이 모든 분야에 미쳤다는 뜻입니다. 이런 경향은 다산뿐 아니라 18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특징이기도 하고, 18세기 유럽 계몽기 사상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세계적 현상입니다. 그런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나는 사람이 바로 다산 정약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탄탄대로의 벼슬길

젊은 시절 다산은 탄탄대로를 걸었습니다. 벼슬길에 나아가서도 승승장구합니다. 이를테면 스물두 살 때 일찌감치 초시에 합격합니다. 스물두 살 때 초시에 합격한 사람은 율곡 이이, 서애 유성룡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초시에 합격하면 대과를 준비하기 위해 성균관에 들어가는데 다산은 성균관에서 공부할 때부터 당시의 임금이었던 정조의 총애를 받아요. 임금의 눈에 든 것이죠. 다산의 임금은 정조입니다. 정조는 조선의 마지막 유학군주인데 경사經史방면에 탁월한 업적을 남긴 대단한 학자였습니다. 다산이 『시경강의』라는 저술을 남겼는데, 이 책이 나오게 된 배경에는 정조가 『시경』을 읽고 질문 800개를 뽑아서 다산에게 대답하라고 주었는데, 그 질문에 대답한 것이 바로 『시경강의』입니다.

세상은 다산을 버렸지만

다산은 23세에 이벽李蘗으로부터 서학西學에 관하여 듣고 관련 서적들을 탐독했는데 이 일이 결국 다산의 발목을 잡습니다. 그러니까 다산이 40세 때, 정조가 세상을 떠난 이듬해인 1801년에 유배에 처해집니다. 정조가 떠난 세상은 다산을 역적으로 몰아서 다산의 일가를 폐족으로 규정하고 완전히 버립니다. 하지만 다산은 세상을 버리지 않았습니다. 해배되던 해인 1818년에 『목민심서』를 탈고 했는데, 이 책에는 자신은 폐족의 신분으로 세상에 참여할 수 없음에도 당시의 목민관이 어떻게 해야 조선의 백성들을 잘 다스릴 수 있는지 고민하고, 구체적인 항목을 일일이 기록하여 지금까지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 지식인의 책임이 무엇인지 되묻게 합니다.

다산의 「자찬묘지명」에 따르면 다산의 선조들은 8대를 연이어 문과에 급제하여 옥당玉堂에 들었고, 아버지는 정재원丁載遠, 1730~1792으로 진주목사를 지낸 남인계열 유학자였습니다. 외가는 해남 윤씨인데, 정약용의 외할머니가 공재 윤두서의 손녀고, 윤두서의 증조할아버지가 고산 윤선도로 역시 남인 계열입니다. 연암 박지원의 가문이 대단하지만 정약용 집안도 만만치 않습니다. 친가도 외가도 상당히 명망 있는 가문입니다. 붕당을 기준으로 이야기하면 노론 계열이 배출한 실학자의 대표가 연암 박지원이라면 남인 계열이 배출한 실학자의 대표가 다산 정약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정약용은 남인 계열 유학자였고 그로 인해 정조에 의해 중용되긴 하지만 정조가 세상을 떠난 뒤에는 완전히 버려집니다. 역적으로 몰렸으니 더는 희망이 없는 처지가 된 겁니다.


1표와 2서로 천하국가를 다스린다

다산을 실학의 집대성자라고 하는데, 인문, 사회, 정치, 경영, 의학, 자연과학 등 거의 모든 방면에 걸쳐 당대 최고 수준의 지식을 축적했기 때문입니다. 「자찬묘지명」에서 스스로 자신의 대표 저술을 1표 2서라고 했는데, 1표는 『경세유표經世遺表』, 2서는 『목민심서牧民心書』와 『흠흠신서欽欽新書』를 가리킵니다. 하지만 다산 스스로 이 책들이 세상에 쓰이리라고 기대하지는 않았습니다. 「자찬묘지명」에서 “육경六經과 사서四書로 자기 몸을 닦고 1표와 2서로 천하국가를 다스리니, 본말本末을 갖춘 것이다. 그러나 알아주는 이는 적고 나무라는 이는 많으니, 만약 천명天命이 허락하지 않으면 비록 횃불에 태워버려도 좋을 것이다.”라고 했으니까요.

『경세유표』에서 경세經世는 세상을 경영한다는 뜻이죠. 여기서 경영하는 주체는 왕입니다. 사대부는 그런 왕을 보좌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유표遺表는 신하가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임금에게 올리는 표문입니다. 왕도를 향한 다산의 절실함이 담겨 있는데, 이 책에서 다산은 토지제도 개혁, 부세제도 개혁 등 행정 전반에 대한 개혁의 원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목민심서』는 일종의 행정지침서로 다산이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을 담아 지은 책입니다. 목민은 목민관牧民官, 곧 지방수령을 가리킵니다. 이 책에 대해서는 따로 말씀드리겠습니다.

『흠흠심서』은 법률서입니다. 흠흠欽欽은 삼가고 또 삼간다는 뜻으로 본래 『서경』에서 순임금이 “삼가고 또 삼가야 할 것이니 오직 형벌을 삼가 살펴야 한다[欽哉欽哉 惟刑之恤哉]”라고 한 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형벌은 백성들이 무엇은 해도 되고 무엇은 하면 안 되는지를 규정한 형법체계를 말합니다. 이게 정비되어 있지 않으면 공자가 이야기한 것처럼 백성들이 손발 둘 곳이 없게 됩니다. 우리가 유학자라고 하면 고루하게 명분이나 따지면서 백성들의 구체적인 삶에는 무지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완전히 잘못 이해한 겁니다. 이 세 책은 모두 당시 조선 사회의 근본적 문제가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간파하고, 시의적절한 해결책을 명쾌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산을 실학의 집대성자라고 평가하는 것이 과장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본문 중 일부)


 

 


Parse error: syntax error, unexpected $end, expecting ')' in /WEB/webuser/html/bbclone/var/last.php on line 2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