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10

노벨상 작가의 동물권에 빗댄 문학가치 ㅣ최재봉

존 쿳시(1940~). 남아프리카공화국 태생의 소설가로 2003년에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추락』, 『어둠의 땅』, 『야만인을 기다리며』 같은 작품을 통해 조국 남아공의 인종차별과 식민주의의 문제를 치열하게 다루었다.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쿳시의 주요 작품들은 대거 번역 출간되었는데, 지난 연말에 출간된 『동물로 산다는 것』(전세재 옮김, 평사리 펴냄)은 한국어판 쿳시 저작 목록의 최근작에 해당한다.

소설은 ‘철학자와 동물’ ‘시인과 동물’ 두 단편과 그에 대한 네 전문가의 코멘트, 그리고 해설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국어판에는 옮긴이의 글이 추가됐다. 쿳시가 쓴 두 단편은 엘리자베스 코스텔로라는 나이 지긋한 여성 작가가 어느 대학의 초청에 응해 두 차례에 걸쳐 강연을 하는 과정을 다룬 것이다(단순한 강연 원고가 아니라, 주인공이 공항에 도착하는 장면을 시작으로 강연장의 분위기와 강연 후의 질의응답, 주최측이 마련한 만찬 등 강연을 전후한 상황이 허구적으로 그려졌다). 실제로 작가 쿳시는 미국 프린스턴대 ‘인간가치연구소’의 초청에 응해 강연을 행했는데, 그 강연 원고가 바로 이 두 단편이다. 그러니까 가공의 주인공이 강연을 하는 과정을 담은 소설 형식의 글이 바로 강연 원고가 된 것이다.

사실 이 두 ‘강연 소설’은 2005년에 번역 출간된 소설집 『엘리자베스 코스텔로』에 다른 여섯 단편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여덟 가지 강연’이라는 부제를 단 이 소설집은 엘리자베스 코스텔로가 리얼리즘, 아프리카에서의 소설, 악의 문제, 에로스 등의 주제에 대해 강연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동물로 산다는 것』의 차별성이라면, 쿳시의 강연(=소설)에 대한 각계 전문가 네 사람의 논평이 곁들여졌다는 점이다. 아울러서 프린스턴대 재직 당시 강연을 주최한 정치학자 에이미 구트만(펜실베니아대학 총장)의 해설도 포함됐다.

엘리자베스 코스텔로가 두 강연에서 한결같이 강조하는 것은 인간만이 아니라 동물 역시 생명과 품위를 존중받을 권리(=‘동물권’)가 있다는 점이다. 그런 신념 때문에 코스텔로는 육식을 거부한 채 채식만을 고집하며, 그로 인해 때로 주변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들기도 한다.

쿳시의 강연-소설에 대해 논평을 요청받은 네 사람의 전문가가 쓴 글들은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도 있는 ‘동물권’ 개념의 여러 층위를 생각해 보게 한다. 가장 재미있는 것은 그 자신 『동물 해방』이라는 책을 쓴 동물철학자 피터 싱어(프린스턴대 생명윤리학과 교수)의 논평이다. 쿳시의 강연-소설의 토론자로 선정된 뒤 논평 형식을 놓고 고민하는 그에게 딸은 아버지 역시 소설 형식으로 대응하면 되지 않겠느냐는 조언을 건넨다. 이에 대해 아버지는 “내가? 내가 언제 소설을 써본 적이 있어야 말이지!”라고 말하는데, 그야말로 근사한 소설적 결말에 해당한다.

영장류동물학자인 바버라 스멋(미시간대 인류학과 교수)은 동물권에 관한 논의를 위해서라면 “시적인 상상보다는, 실제 삶에서 동물과의 만남”이 더 중요하고 가치있음을 역설한다. 그가 연구를 위해 개코원숭이 비비들과 지낼 때의 일화, 그리고 애완견 사피와 교감을 나눈 사례 등은 매우 흥미롭고 감동적이다. 한편 종교사학자 웬디 다니거(시카고대 종교사학과 교수)는 힌두 신화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적 전통에서 동물권 개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설명했고, 문학이론가 마저리 가버(하버드대 영문과 교수)는 ‘시 수업이 도살장을 폐쇄시킬 수는 없다’는 코스텔로의 말을 근거로 쿳시의 강연-소설이 문학의 가치에 관한 메타소설이라는 독특한 견해를 내놓는다. 결론적으로 이 작품은, 에이미 구트만이 해설에서 썼다시피, “동물의 삶에 관한 작품임과 동시에 문학의 가치에 관한 작품이기도 하다.” (*)

(<한겨레> 2007년 1월 4일자 [최재봉의 문학풍경]에서 전재)


★ 필자 소개

최재봉

<한겨레> 문학전문기자. 산문집으로 『최재봉 기자의 글마을 통신』, 『간이역에서 사이버스페이스까지』가 있고, 역서로는 『에리히 프롬, 마르크스를 말하다』, 『클레피, 희망의 기록』, 『에드거 스노 자서전』 등이 있다.

 

 

 

 


Parse error: syntax error, unexpected $end, expecting ')' in /WEB/webuser/html/bbclone/var/last.php on line 2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