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책과 생각
>
이 한 대목
신간 제1장 공개
그림·책·그림책
책과 사람
서평
이 한 대목
영상 나비
영상 북리뷰
오늘의 공부
생각하는 사전
이 한 대목
전체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어린이/청소년
기타
482
교수형
조지 오웰, 《나는 왜 쓰는가》
그리하여 사람 하나가 사라질 것이고, 세상은 그만큼 누추해질 것이었다.
조지 오웰
2025-07-09
481
유년기
김희경, 《이상한 정상가족》
한국 사회가 아이를 바라보는 관점은 ‘경력 같은 신입’이기를 바라는 관점.
김희경
2025-06-16
480
욕망하는 독자, 정치하는 독서
허윤, 《위험한 책읽기》
이 정치의 행위자가 독자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허윤
2025-06-04
479
번아웃
황효진, 《일의 말들》
번아웃이 진짜 무서운 건, 일하느라 자신을 태워 없애면서도 일만이 나의 쓸모를 증명하는 방법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황효진
2025-05-16
478
번역의 본질과 딜레마
홍한별, 《흰 고래의 흼에 대하여》
번역이 배신인 까닭은, 혼란스러운 언어를, 부유하는 기의를 일시적으로나마 고정하려고 시도했기 때문이다.
홍한별
2025-05-13
477
비가역
정유정, 《영원한 천국》
과학은 후진이 불가능해. 그저 도착하기로 예정된 곳에 도착한 것뿐이야.
정유정
2025-04-21
476
채식주의자
한강, 《채식주의자》
젖가슴으론 아무것도 죽일 수 없으니까.
한강
2025-04-09
475
어떻게 마주 앉아 대화할 것인가
최재천, 《숙론》
그때 나는 깨달았다. 이런 게 새 시대의 새로운 거버넌스라는 걸.
최재천
2025-04-07
474
문학
찬쉐, 《격정세계》
맹목적으로 욕망을 향해 돌진하는 행동은 오래도록 지속적으로 만족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찬쉐
2025-03-25
473
미래 언어
조지은, 《미래 언어가 온다》
미래 언어에는 규범, 규칙, 표준에 얽매이지 않고 개인의 취향에 맞게 변형된 언어, 지극히 개인화된 언어가 주된 언어로 사용될 것이다.
조지은
2025-03-25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