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책과 생각
>
신간 제1장 공개
신간 제1장 공개
그림·책·그림책
책과 사람
서평
이 한 대목
영상 나비
영상 북리뷰
오늘의 공부
생각하는 사전
신간 제1장 공개
신간 도서의 본문의 제1장 또는 주목할만한 부분을 독자 여러분께 살짝 공개합니다.
문학의 쓸모
앙투안 콩파뇽 지음 | 김병욱 옮김
단어 옆에 서기
조 모란 지음 | 성원 옮김
우리 사이에 칼이 있었네
강창래 지음
도시의 동물들
최태규 지음 | 이지양 사진
모두를 살리는 농사 . . .
녹색연합,금창영,이다예,이아롬,황인철 지음
전체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어린이/청소년
기타
192
17인의 농민이 말하는 기후 위기 시대의 농사
녹색연합,금창영,이다예,이아롬,황인철, 『모두를 살리는 농사를 생각한다』
한편 이른바 ‘탄소 중립’ 시대를 맞아 농업도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주범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탄소 중립이란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해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0년,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고 선언했...
2025-04-23
191
자본으로부터 과학 되찾기
박재용, 『노동자가 만난 과학』
인간이 처음 몸에 걸친 옷은 아마 사냥한 동물의 가죽이었을 것이다. 그 뒤 다양한 섬유들이 나왔지만, 모피는 꾸준히 인간의 사랑을 받았다. 그러나 20세기 들어 모피 사용을 문제라고 느낀 이들이 늘어났고, 21세기 들어 모피를 사용하지 말자는 여론이 높아졌다. 모피 생산을 목적으로...
2025-04-16
190
더 아름다운 삶을 위한 예술의 뇌과학
수전 매그새먼·아이비 로스, 『뇌가 힘들 땐 미술관에 가는 게 좋다』
우리는 예술이 지닌 변화의 힘을 알고 있다. 누구나 음악이나 그림, 영화, 연극에 푹 빠져본 적, 내면의 무언가가 꿈틀거리며 변해가는 걸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어떤 책이 너무 재밌어서 꼭 읽어보라며 친구 손에 쥐여준다거나, 어떤 노래가 정말 좋아서 그 곡을 듣고 또 들으며 가...
2025-04-10
189
기술에 휩쓸린 시대를 살아가는 마음들
조경숙·한지윤, 『AI블루』
“그래서 우리는 어떤 직업을 가져야 되는 거예요?” 한 고등학교에 강연을 갔을 때 받은 질문이다. 종종 학교나 공공기관 등에서 AI를 비롯한 테크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개괄적으로 발표하곤 하는데, 이날도 같은 주제로 이야기를 마친 참이었다. 궁금한 점이 있는지 묻자마...
2025-03-28
188
나는 왜 어떤 것은 기억하고 어떤 것은 잊어버릴까
차란 란가나스, 『기억한다는 착각』
살아가는 동안 우리는 유기체가 저장할 수 있는 한도를 훌쩍 뛰어넘는 정보에 노출된다. 한 추정치에 따르면, 평균적인 미국인은 하루에 34기가바이트의 정보에 노출된다. 우리가 물리적인 세상을 살아가면서 겪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경험은 말할 것도 없고 스마트폰, 인터넷, 챗, 라디...
2025-03-28
187
내 몸을 누군가와 나눈다는 것
이은희, 『엄마 생물학』
제가 어린 시절 부모님들이 시청하던 텔레비전 아침 드라마 혹은 주말 드라마는 대개 ‘화목한 가정’을 표상하는 흔하디 흔한 클리셰들로 가득했습니다. 남편 쪽의 부모와 조부모, 아들 내외에 성인이지만 아직 독립하지 않은 남편의 형제자매들까지 예닐곱 명의 어른들만 가득 앉은 아침 ...
2025-03-26
186
세계에서 가장 효과적인 심리치료 모델, 영국 IAPT 탄생...
리처드 레이어드·데이비드 클라크, 『심리치료는 왜 경제적으로 옳은가』
“다리가 열 군데나 부러져 병원에 실려간 적이 있었습니다. 내 다리가 아직 문 사이에 있을 때 누군가가 문을 닫아버렸던 거죠. 얼마나 아팠을지 상상이 갈 겁니다. 그런데 우울증으로 겪는 고통은 그보다 몇 배는 더 심합니다. 정말 끔직한 고통이에요.”
2025-03-23
185
동물 통제와 낙인의 정치학
베서니 브룩셔, 『나쁜 동물의 탄생』
청설모를 떠올려 보자. 많은 사람이 청설모를 사랑한다. 그 야무지고 복슬복슬한 몸이 나무와 전선 위를 달리는 것을 보면서 미소 짓고, 응원한다. 모든 대학 캠퍼스는 자기네 청설모가 다른 어느 캠퍼스의 청설모보다 더 대담하다고 확신한다. 내 친구 하나는 하루도 빼놓지 않고...
2025-03-04
184
우리의 뇌 그리고 AI를 만든 다섯 번의 혁신
맥스 베넷, 『지능의 기원』
우주 진출 경쟁, 쿠바 미사일 위기, 소아마비 백신 도입 등으로 전 세계가 떠들썩했던 1962년 9월,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인류의 역사에서 다른 사건들만큼이나 중요한 이정표가 하나 세워졌다. 1962년 가을에 나온 미래 예측이었다.
2025-02-27
183
우리가 알고 있는 교육의 종말
살만 칸, 『나는 AI와 공부한다』
2023년 새해 첫날 오후, 나는 이제 열한 살이 된 딸 디야와 함께 짧은 글짓기를 해보기로 했다. 내가 부엌 조리대에 노트북을 올려놓자, 이야기의 첫머리를 구상하던 디야가 이내 타이핑을 시작했다. 우리의 이야기 속 주인공은 용감한 인플루언서였다. 디야는 그녀의 이름을 서맨사라고 ...
2025-02-2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