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은혜의 책 사이로 달리다] ‘벽돌 책’ 옹호론

[이은혜의 책 사이로 달리다] ‘벽돌 책’ 옹호론

입력 2020-07-06 17:42
업데이트 2020-07-07 16: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두꺼운 책 서문에 “실제 해결 방안을 접하고 싶은 독자는 앞장을 건너뛰고 3장으로 직행해도 된다”와 같은 말을 적어 놓는 저자가 있다. 작가가 쌓아 온 탑을 해체하며 분석할 독자가 많지 않을 거라 겁을 먹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과도한 친절일 수 있다. 차라리 피케티가 ‘자본과 이데올로기’에서 “일부 성급한 독자는 곧바로 종장과 결론으로 넘어가고 싶어 할 것이다. 이를 막을 순 없지만 이해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며 차례대로 읽는 것이 가장 논리적인 진행”이라고 한 말이 더 설득력 있다. 왜 그런가.

1300쪽짜리 ‘자본과 이데올로기’에서처럼 정의로운 소유를 논하려면 “사건 논리들과 역사적이고 제도적인 구체적 실험들, 때로는 폭력적인 위기들의 중개”가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책은 통계 자료를 넣어 중량을 더하는데, 역사 연구에서 통계는 인간의 무지를 드러내며 더 정확한 앎의 세계로 이끌기 때문이다. 피케티는 불평등 분쇄를 위해서는 두꺼운 연구서를 읽어 역사와 경제 인식을 타자의 몫으로 떠넘기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안 그랬다가는 지적 싸움과 이념 구축에 게을렀던 유럽 사민주의자들처럼 세계를 부자들의 손에 넘길 수 있기 때문이다.

작가 탕누어는 ‘명예’ 옹호론을 펼치려고 소책자를 하나 기획했다. 그런데 오늘날 명예는 ‘부’(富)에 의해 완전히 잠식돼 있어 ‘부’부터 비판하다 보니 애덤 스미스, 마르크스, 하이에크로 거슬러 올라가야 했고, 일본·중국·아시아 네 마리 용의 부의 성취 및 몰락을 묘사해야 해서 책은 이미 500쪽을 넘어섰다. 처음엔 교환관계 기능만 지녔던 화폐가 정치와 역사, 문학까지 뒤덮으면서 서술이 필연적으로 두터워진 것이다.

한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은 균형을 맞추려는 작가들을 탄생시킨다. 근대의 이성중심주의는 여러 학자에게 공백인 ‘감정’ 영역을 채워넣도록 이끌었다. 애덤 스미스는 ‘도덕감정론’을 쓰는 데 20년을 들였고, 존 롤스의 ‘정의론’은 ‘시기심’과 같은 인간의 감정을 다뤘다. 뒤이어 마사 누스바움은 롤스의 연구에 여전히 구멍이 있다고 여겨 법 영역에서 ‘감정’을 본격적으로 다뤘다. 공백의 역사가 길고 구멍이 클수록 후대의 보충은 방대해진다. 누스바움은 ‘정치적 감정’에서 시와 소설, 음악과 미술작품에 대한 논의로 사회정의를 재구축하면서 700쪽에 이르렀다.

다른 방식으로 두꺼운 책도 많다. 한 건물 안에 거주하는 이들의 삶을 하나하나 이으면서 조각보를 완성하는 조르주 페렉의 ‘인생사용법’은 744쪽의 거대한 퍼즐이다. 퍼즐에서 미로와 미궁은 기본이며, 복잡해야 더 리얼리즘적이다. 이 소설은 전통적 서술을 벗어나 퍼즐을 맞추면 종장에는 독자를 커다란 감정의 물결로 휘몰아 넣는다.

퍼즐 풀기의 또 다른 예로 존 맥피의 ‘이전 세기의 연대기’를 들 수 있다. 700쪽짜리 이 책은 그가 연구하는 지구 지층의 연대기처럼 두껍고, 그 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돌들처럼 무겁다. 그는 미국 대륙을 종횡단하면서 지층에 쌓여 있는 암석의 메아리를 들으려 시도한다. 지질학자가 아니면서 지질학자처럼 여행하는 맥피는 “어란석과 백운석, 응회암과 화강암, 페?산의 실트암과 셰일”이 모두 그림의 조각들이라며, 여기서 고생물과 화학적 특성, 지각의 움직임, 고환경의 풍경 같은 이야기의 단서를 추적해 간다. 즉 기존 것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성을 쌓기 위해서는 해체와 보존, 재구축에 들어가는 작가의 의지가 필연적인 두께로 이어진다. 이런 두꺼운 책을 대하는 독자들은 ‘벽돌’ ‘베개’로 희화화하며 은퇴 후에나 읽어 보겠다고 다짐한다. 하지만 가끔 1000쪽짜리 책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그런 책들은 빨리 휴식과 잠의 세계로 데려다 놓지 않기 때문에 소란스러운 현실로부터 독자를 더 잘 격리시키고, 그러한 격리는 우리 세상이 가로막고 있는 상상력을 북돋우며 지적 집적으로 인식의 전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
2020-07-07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